분류 전체보기(129)
-
Spring - Java를 이용한 Bean 등록(어노테이션)
Spring에서는 xml을 이용하는 방법 말고도 자바 코드를 이용하여 빈을 관리할 수 있다. xml 과 java파일의 차이는 xml은 값을 정해줘야 하는 반면 java 파일은 코드를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. 개발을 하면서 둘 다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에 둘 다 알아두는 것이 좋다.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다음과 같이 패키지 및 파일을 만들어 준다. beanconfig 자바파일을 이용해서 빈들을 관리 할 것이다. 먼저 빈이 정의된 파일들을 불러오는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.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 ctx =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("cookingcoding/config/beans.xml"); MainClass에서 Xml파일을 불..
2020.08.18 -
Java 설치 및 환경설정
java에는 JDK와 JRE 두가지가 있다. 먼저 JDK(Java Development Kit)는 자바 개발버전으로 처음부터 코딩 작성하여 실행까지 가능하다. JRE(Java RunTime Environment)는 테스트 버전으로 프로그램을 실행 시킬 수 있는 버전이다. https://www.oracle.com/java/technologies/javase-downloads.html 해당 사이트에서 8버전을 다운로드 해준다. 상위 버전도 있지만 현업에서 쓰이는 버전이 8버전이다. 실행 후 c:\jdk1.8에 설치를 한다. 경로명을 짧게 해주어 환경변수 등록등에 편리함을 주도록 한다. path환경변수 설정 내PC 오른쪽 버튼 -> 속성 -> 고급 시스템 속성 고급 -> 환경변수 -> path 편집 -> 새로..
2020.08.18 -
Spring - 빈 객체 값 주입(자동주입)
- Spring에서는 객체를 주입할 때 자동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. - 자동 주입은 이름, 타입, 생성자를 통할 수 있으며 auto wire라는 용어로 부른다. 다음과 같이 빈 클래스를 만든다. 1.기본 자동주입 public class TestBean4 { private DataBean data1; private DataBean data2; public DataBean getData1() { return data1; } public void setData1(DataBean data1) { this.data1 = data1; } public DataBean getData2() { return data2; } public void setData2(DataBean data2) { this.da..
2020.08.17 -
Spring - 빈 객체 값 주입(컬렉션)
Bean을 정의할 때 주입해야 하는 맴버가 컬렉션인 경우 컬렉션이 관리할 객체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.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고 컬렉션을 정의한다. List, Set,Map,Properties를 정의했고, 어떻게 값을 주입하는지 알아보자. import java.util.List; import java.util.Map; import java.util.Properties; import java.util.Set; public class TestBean3 { private List list1; private List list2; private List list3; private Set list4; private Set list5; private Set list6; private Map map1; private ..
2020.08.17 -
Spring - 빈 객체 값 주입 (Setter 메소드)
Bean을 정의할 때 Bean 객체가 가지고 있을 기본 값을 생성자가 아닌 Setter 메서드를 통해 주입할 수 있다. 먼저 다음과 같이 클래스를 생성하여 객체를 만들고 setter,getter을 만들어 준다. public class TestBean2 { private int data1; private double data2; private boolean data3; private String data4; private DataBean data5; private DataBean data6; public int getData1() { return data1; } public void setData1(int data1) { this.data1 = data1; } public double getData2() ..
2020.08.17 -
Spring - 빈 객체 값 주입(생성자)
의존성 주입(Dependency Injection) - 의존성 주입은 Spring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이자 장점이다. - Bean 객체를 생성할 때 Bean 객체가 관리할 값이나 객체를 주입하는 것을 의미한다. - Bean 객체 생성 후 Bean 객체가 가질 기본 값을 자바 코드로 설정하는 것이 아닌 Bean을 정의하는 xml 코드에서 정의하는 개념이다. Bean을 정의할 때 constructor-arg 태그를 이용해 주입하게 되면 생성자를 통해 주입할 수 있다. 다음과 같은 TestBean1 클래스에 여러가지 매개변수를 받는 생성자들이 선언되어있다. beans.xml 파일을 사용하여 생성자를 통해 값을 주입해보자. public class TestBean1 { private int a; private d..
2020.08.17